본문 바로가기
안전보건교육

안전보건교육 3. 전기안전관리와 재해 예방 문제,답안,해설

by 미키밍 2025. 10. 11.
반응형

⚡ 안전 보건 교육 3. 전기안전관리와 재해 예방 객관식 문제 & 해설

안녕하세요 햄입니다 :)
오늘은 전기안전관리와 재해 예방 파트의 객관식 10문제를 정리했습니다.
문제, 보기, 정답, 해설 순으로 구성했어요 ⚙️


안전보건교육 3. 전기안전관리와 재해 예방 문제,답안,해설

✅ 1번 문제

문제:
다음 중 과전류를 유발하는 원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
보기:
① 단락
② 과부하
③ 지락
④ 정격

정답: ✅ ④ 정격

해설:
과전류는 단락, 과부하, 지락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.
정격은 전기기기의 정상 운전 조건에서의 허용치로, 과전류의 원인이 아닙니다.

✅ 2번 문제

문제:
전선이 단선되어 지면과 통전 경로가 형성되거나, 절연이 나빠져 충전 부분에서 외부로 전기가 누설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?

보기:
① 지락전류
② 정격전류
③ 과부하전류
④ 단락전류

정답: ✅ ① 지락전류

해설:
지락은 절연 불량 등으로 전류가 대지로 흐르는 현상입니다.
이때 발생하는 전류를 지락전류라 하며, 감전 및 화재 위험이 큽니다.

✅ 3번 문제

문제:
정격용량을 초과한 부하설비를 전기회로에 접속하여 정격전류값을 초과해 흐르는 전류는?

보기:
① 차단기
② 정격전류
③ 과부하전류
④ 단락전류

정답: ✅ ③ 과부하전류

해설:
부하가 정격을 초과하면 회로에 과부하전류가 흐르며, 과열로 절연 손상과 화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.

✅ 4번 문제

문제:
감전재해 예방대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
보기:
① 충전부 노출조치
② 접지
③ 누전차단기의 설치 및 사용
④ 정전작업

정답:① 충전부 노출조치

해설:
충전부는 보호조치 즉, 절연조치 하여야 한다.

✅ 5번 문제

문제:
보호하고자 하는 기계기구를 대지와 끊김 없이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?

보기:
① 접지
② 단락
③ 전류
④ 전압

정답: ✅ ① 접지

해설:
접지는 전기기기 외함 등을 대지에 연결해 이상전류를 안전하게 흐르게 하는 조치로, 감전 및 화재를 예방합니다.

✅ 6번 문제

문제:
다음 중 접지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
보기:
① 계통접지
② 기기접지
③ 피뢰용 접지
④ 노이즈 발생 접지

정답: ✅ ④ 노이즈 발생 접지

해설:
접지는 계통접지, 기기접지, 피뢰용 접지로 구분됩니다.
‘노이즈 발생 접지’는 용어상 잘못된 표현입니다.

✅ 7번 문제

문제:
감전의 상태(유형)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
보기:
① 직접 접촉으로 인한 감전
② 절연보호구 착용 후 전선로 접촉
③ 간접 접촉으로 인한 감전
④ 전기의 유도 현상에 의한 감전

정답: ✅ ② 절연보호구 착용 후 전선로 접촉

해설:
절연 보호구를 착용했다면 감전 상태에 해당하지 않습니다.
감전은 직접·간접 접촉, 유도 전류에 의해서 발생합니다.

✅ 8번 문제

문제:
전기 안전작업 요령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?

보기:
① 장비 점검 전 전원 차단, 플러그 분리
② 절연 손잡이 공구 사용
③ 충전부 절연
④ 전원에 연결된 회로배선 임의 변경

정답: ✅ ④ 전원에 연결된 회로배선 임의 변경

해설:
전기 작업 시 회로를 임의로 변경하면 감전·합선 위험이 높습니다.
전원 차단 후 승인 절차에 따라 작업해야 합니다.

✅ 9번 문제

문제:
전기 일반 안전수칙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?

보기:
① 스위치 근처에 인화성 물질 금지
② 분전반 내부에 불필요한 물건 보관 금지
③ 전동기 등에서 불꽃이나 연기가 나도 잠시 사용
④ 모든 스위치는 사용처 명기

정답: ✅ ③ 전동기 등에서 불꽃이나 연기가 나도 잠시 사용

해설:
불꽃·연기가 발생하면 즉시 전원을 차단하고 점검해야 합니다.
계속 사용하면 화재 위험이 큽니다.

✅ 10번 문제

문제:
전기회로의 선로가 서로 접촉되어 비정상적으로 높은 전류가 흐르는 현상은?

보기:
① 차단기
② 정격전류
③ 과부하전류
④ 단락전류

정답: ✅ ④ 단락전류

해설:
단락(합선)은 서로 다른 전위의 도체가 직접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고전류 현상으로,
기기 손상이나 화재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.
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