🧪 화학물질 취급작업과 국소배기장치 객관식 문제 & 해설
안녕하세요 햄입니다 :)
오늘은 화학물질 취급작업 안전관리와 국소배기장치 파트의 객관식 10문제를 정리했어요.
✅ 1번 문제
문제:
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의 화학물질 취급작업 안전에 관한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보기:
① 화학물질의 유해성·위험성 조사
② MSDS 작성·비치
③ 위험물의 지정수량에 관한 사항
④ 작업환경측정
정답: ✅ ③ 위험물의 지정수량에 관한 사항
해설:
위험물의 지정수량은 「위험물안전관리법」의 내용이며,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화학물질의 유해성 조사, MSDS 작성·비치, 작업환경측정 등이 포함됩니다.
✅ 2번 문제
문제:
다음 중 국소배기장치의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보기:
① 후드
② 독성가스
③ 덕트
④ 배풍기
정답: ✅ ② 독성가스
해설:
국소배기장치는 후드, 덕트, 공기정화장치, 배풍기, 배기구 등으로 구성됩니다.
‘독성가스’는 제거 대상이지 구성요소가 아닙니다.
✅ 3번 문제
문제:
다음 중 국소배기장치 후드 설치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보기:
① 유해물질 발생 장소마다 설치
② 발생형태와 작업방법을 고려하여 발산원 제어 가능 구조로 설치
③ 포위식 또는 부스식 후드를 설치
④ 외부식 후드는 발산원에서 가장 먼 위치에 설치
정답: ✅ ④ 외부식 후드는 발산원에서 가장 먼 위치에 설치
해설:
외부식 후드는 발산원에 최대한 가까이 설치해야 흡입효율이 높습니다.
거리가 멀면 유해물질 확산을 막기 어렵습니다.
✅ 4번 문제
문제:
유해성이 높은 화학물질을 덜 위험한 물질로 바꾸는 조치는?
보기:
① 작업환경측정
② 특수건강진단
③ 작업장 순회점검
④ 화학물질의 대체 사용
정답: ✅ ④ 화학물질의 대체 사용
해설:
대체(Substitution)는 원천적 위험 제거 방법으로, 가장 효과적인 화학물질 안전관리 방법 중 하나입니다.
✅ 5번 문제
문제:
작업환경측정, 특수건강진단, 작업장 점검, 위험성평가 등을 통해 유해성과 위험성을 평가하고 대책을 세우는 관리 개념은?
보기:
① 건강관리
② 국소배기장치
③ 근로감독
④ 작업환경관리
정답: ✅ ④ 작업환경관리
해설:
작업환경관리는 근로자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해 유해·위험요인을 평가하고 개선하는 종합 관리체계입니다.
✅ 6번 문제
문제:
유해화학물질 발생원을 밀폐하는 방법 중 잘못된 것은?
보기:
① 작업상 필요한 개구부를 제외하고 완전히 밀폐한다.
② 내부를 음압으로 유지하여 공기 누출을 방지한다.
③ 개구부 누출 시 국소배기장치를 설치한다.
④ 유해화학물질이 들어있는 용기는 상시 열어둔다.
정답: ✅ ④ 유해화학물질이 들어있는 용기는 상시 열어둔다.
해설:
유해물질 용기는 반드시 밀폐·차단해야 합니다.
상시 개방은 누출과 노출 위험을 높입니다.
✅ 7번 문제
문제:
다음 중 국소배기장치 점검·청소·보수 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?
보기:
① MSDS 게시여부 점검
② 덕트 접속부 이완 유무 점검
③ 흡기 및 배기 능력 확인
④ 배풍기 회전 방향 및 배기 유량 점검
정답: ✅ ① MSDS 게시여부 점검
해설:
MSDS는 화학물질 정보 관리 항목으로, 배기장치 점검 항목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.
✅ 8번 문제
문제:
유해인자 발생·노출 최소화를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?
보기:
① 노출 가능성이 있는 공정 파악
② 폐쇄형 시스템으로의 전환
③ 자동화 가능성 검토
④ 유지보수가 잦은 공정으로 전환
정답: ✅ ④ 유지보수가 잦은 공정으로 전환
해설:
유지보수가 빈번하면 오히려 노출 위험이 커집니다.
자동화·밀폐화는 노출을 줄이는 핵심 전략입니다.
✅ 9번 문제
문제:
국소배기장치의 설치 순서로 옳은 것은?
보기:
① 배풍기 → 배기구 → 후드 → 덕트 → 공기정화장치
② 후드 → 덕트 → 공기정화장치 → 배풍기 → 배기구
③ 후드 → 덕트 → 공기정화장치 → 배기구 → 배풍기
④ 덕트 → 후드 → 공기정화장치 → 배풍기 → 배기구
정답: ✅ ② 후드 → 덕트 → 공기정화장치 → 배풍기 → 배기구
해설:
올바른 순서는 후드 → 덕트 → 공기정화장치 → 배풍기 → 배기구입니다.
이 구조가 가장 효율적인 배기 흐름을 형성합니다.
✅ 10번 문제
문제:
다음 중 국소배기장치의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보기:
① 후드
② 유해화학물질
③ 덕트
④ 배풍기
정답: ✅ ② 유해화학물질
해설:
유해화학물질은 제어 대상이며, 장치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.
국소배기장치는 후드–덕트–공기정화장치–배풍기–배기구로 구성됩니다.
'안전보건교육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안전보건교육 12. 수은 폐기물 안전관리 및 처리방안 문제,답안,해설 (2) | 2025.10.12 |
---|---|
안전보건교육 11. 방재장비 및 방재설비의 이해 문제,답안,해설 (0) | 2025.10.12 |
안전보건교육 10. 외부공간 연구활동 안전관리 가이드 문제,답안,해설 (0) | 2025.10.12 |
안전보건교육 9. 기계 기구 설비의 정비 및 보수 작업 안전 문제,답안,해설 (1) | 2025.10.11 |
안전보건교육 7. 소방안전관리와 화재예방 문제,답안,해설 (1) | 2025.10.11 |
안전보건교육 6. 위험요소와 위험성 문제,답안,해설 (1) | 2025.10.11 |
안전보건교육 5. 재해예방을 위한 정리정돈 및 안전수칙 문제,답안,해설 (6) | 2025.10.11 |
안전보건교육 04. 감정노동의 이해와 건강관리 방안 객관식 문제,답안,해설 (0) | 2025.10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