🦺 산업안전보건 객관식 문제 & 해설 (근로자 건강관리 파트)
안녕하세요 햄입니다 :)
오늘은 산업안전보건 객관식 10문제를 정리했어요.
각 문항은 문제 → 보기 → 정답 → 해설 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✅ 1번 문제
문제:
다음 중 작업방법, 작업강도, 중량물 취급, 작업의 물리적 부담 등에 해당하는 질병발생 요인은?
보기:
① 물리적 인자
② 생물학적인 인자
③ 인간공학적인 인자
④ 사회심리학적 인자
정답: ✅ ③ 인간공학적인 인자
해설:
작업자 자세, 반복동작, 중량물 취급 등 신체 부담 요인은 인간공학적 인자입니다.
물리적 인자는 소음·진동, 생물학적 인자는 세균·바이러스, 사회심리학적 인자는 스트레스입니다.
✅ 2번 문제
문제:
다음 중 업무상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보기:
① 작업환경관리
② 작업관리
③ 건강관리
④ 유전관리
정답: ✅ ④ 유전관리
해설:
업무상 질병 예방의 3요소는 작업환경관리, 작업관리, 건강관리입니다.
유전관리는 개인적 요인으로 예방대책에 포함되지 않습니다.
✅ 3번 문제
문제:
외부에 있는 사람이 바람과 한기에 노출된 피부로부터 열을 빼앗길 때 느끼는 추운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는?
보기:
① 체감온도
② 절대온도
③ 화씨온도
④ 섭씨온도
정답: ✅ ① 체감온도
해설:
체감온도는 바람·습도 등 기상요인으로 사람이 실제 느끼는 온도입니다.
한랭 스트레스 평가 및 방한 대책에 사용됩니다.
✅ 4번 문제
문제:
다음 중 근골격계질환의 증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보기:
① 특정 신체부위의 부기 또는 기형
② 손의 쥐는 힘이 향상되는 경우
③ 행동 반경이 축소된 경우
④ 감각 저하 등 기능 손실
정답: ✅ ② 손의 쥐는 힘이 향상되는 경우
해설:
근골격계질환은 통증, 운동범위 제한, 감각저하가 주요 증상이며
악력 향상은 해당되지 않습니다.
✅ 5번 문제
문제:
직업에 의해 발생된 질병에 해당하는 용어는?
보기:
① 기왕증
② 기저질환
③ 직업관련성 질환
④ 직업병
정답: ✅ ④ 직업병
해설:
특정 업무나 물질 노출이 직접 원인이 되어 발생한 질병을 직업병이라 합니다.
✅ 6번 문제
문제:
가스, 증기, 미스트, 흄 및 분진 등의 형태로 작업장 내 존재하면서 건강에 영향을 주는 유해인자는?
보기:
① 화학적 인자
② 물리적 인자
③ 생물학적 인자
④ 유전적 인자
정답: ✅ ① 화학적 인자
해설:
분진, 가스, 흄 등은 화학적 인자이며, 흡입이나 접촉으로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줍니다.
✅ 7번 문제
문제:
직업적 요인에 의해 악화되거나 작업과 관련하여 높은 발병률을 보이는 질병은?
보기:
① 기왕증
② 기저질환
③ 직업관련성 질환
④ 직업병
정답: ✅ ③ 직업관련성 질환
해설:
직업관련성 질환은 직업 요인과 개인 요인이 함께 작용할 때 발생합니다.
예: 스트레스성 고혈압, 요통 등.
✅ 8번 문제
문제:
다음 중 직업병을 유발할 수 있는 물리적인 유해인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보기:
① 온도
② 소음
③ 진동
④ 유기용제
정답: ✅ ④ 유기용제
해설:
유기용제는 화학적 인자이며,
물리적 인자는 소음, 진동, 방사선, 온도 등이 포함됩니다.
✅ 9번 문제
문제:
석면 해체·제거작업에 종사자에게 지급해야 하는 보호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보기:
① 방진마스크나 송기마스크
② 고글형 보호안경
③ 보호복과 보호신발
④ 방독면
정답: ✅ ④ 방독면
해설:
석면은 미세분진 형태이므로 방진마스크를 사용해야 합니다.
방독면은 가스류 대응용으로 부적절합니다.
✅ 10번 문제
문제:
근골격계 질환의 예방대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보기:
① 작업환경의 개선
② 관리적 대책 및 작업관리
③ 심리적 관리
④ 개인적 관리
정답: ✅ ③ 심리적 관리
해설:
근골격계 질환 예방대책은
① 작업환경 개선
② 관리적 대책 및 작업관리
③ 개인적 관리로 구분됩니다.
심리적 관리는 별도의 스트레스 관리 영역입니다.